목록개발 일지 (62)
rabbit97 님의 블로그
주말동안 알고리즘 풀이에 한계가 와서 전에 풀었던 문제들을 다시 풀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확실히 처음 풀었을때 보다는 시야가 넓어진 것 같은 느낌이 들긴 하지만 이 문제들은 프로그래머스 0~1레벨 문제이다 3레벨이 목표인데 갈 길이 멀구나 개인적으로 풀이가 많이 달라졌거나 어려웠던 부분을 기록할까 하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스타일이 많이 달라졌다 솔루션 함수에 모든 로직을 넣었었는데 기능별로 나누는 연습이 선호하는 스타일을 만들어 낸 것 같다 33번 문제 약수의 갯수와 덧셈// 문제 설명// 두 정수 left와 r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left부터 right까지의 모든 수들 중에서, 약수의 개수가 짝수인 수는 더하고,// 약수의 개수가 홀수인 수는 뺀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오늘은 행복한 날~~ 내가 맡은 로직이 다 끝났다물론 팀원 캐리로.. 어제는 11시 넘어서까지 팀 회의 하느라 일지를 못적었는데 그래서 수정사항이 많다 일단 각자 브렌치에서 작업하다가 슬슬 모양새가 나와서 기능별로 파고 합치기 시작했다 내가 맡은 부분은 4번 위주인데 123번 넘어오면서 구조가 팀원 분들이랑 많이 달라서 결국 롤백하고 다시 구현했어야했지만대충 기반을 다져놓고 내가 해야하는게 뭔지 딱 감이 잡혔기에 금방 복구할 수 있었다 온 데이터 파일이 팀원 분 중 한분 엄청 잘 구현하신 분이 있어서 그 분꺼로 가져가기로 했다 패킷 파서가 크리에이트 헤더로 파일이 바뀌었다 응답 패킷은 하나씩 핸들러로 관리하는게 아닌 여기서 공통으로 보낸다 수정 된 몬스터쪽 파일알림이나 응답을 따로 관리하는게 아닌 ..

오늘도 과제의 날 과제말고는 한게 없기 때문에 과제 수정사항 내용만 있을 예정 일단 아래 로직들은 아직 돌아가는지도 모른다 회원가입과 로그인이 되어야 게임 매칭을 잡을 수 있고 게임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제외한 역할을 맡은 모든 팀원들이 같은 상황일 것... 매칭쪽 맡으신 분이랑 게임 중간 기능로직 맡으신 분들 엄청 잘하시던데 로그인 회원가입쪽이 좀 안풀리는지 본인 역할 다 끝내고 도와주고 계시긴 하지만 내일쯤이면 나도 테스트가 가능 할 것 같다 게임 세션쪽 로직 매칭이 잡히고 게임이 시작될때 사용될 로직이다 내가 맡은 로직들의 핸들러들을 정의한 파일 패킷 명세가 이미 주어졌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하기 스폰 몬스터 리스폰스 핸들러 로직 스폰 몬스터 리퀘스트 핸들러 로직 몬스터 어택..

주말동안은 알고리즘 시간을 가지고 어제 팀 프로젝트 발제 시작 어제는 클라이언트 코드 분석하느라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작성을 못해 이번 TIL에 기록이번 게임은 타워디펜스 게임 리마스터! tcp 프로토콜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와 패킷을 교환하면서 게임이 잘 돌아가게끔 서버를 만드는 것내가 맡은 역할 몬스터 생성 관련과 기지 체력 업데이트 알림일단 프로토콜 버퍼 파일을 생성하였다 게임 패킷은 클라이언트에서 정의된 내용을 담은 패킷 명세서인데 참고용으로 넣어두고 나중에 합칠때 삭제할 예정 문제는 여기서 있는데서버 로직을 작성할때 어떻게 작성을 할까 하는 2가지 선택지가 생겼다 게임이 시작할때 게임 세션 안에 몬스터 정보를 담아서 같이 보내주는 방식 게임과 별개로 몬스터 세션을 만들어서 게임이 시작할때 같이 보내..

서버를 열고 테스트 해보니 문제가 하나 생겼다. 레이턴시 매니저 추가 후 멀티 테스트를 안해봤는데 서버 열고 확인하니 멀티 환경에서 다른 유저가 움직일때 캐릭터가 사라졌다가 나타나는 현상이 생겼다. - 문제 해결 과정 혹시나 네트워크 문제인가 해서 로컬 환경에서 열고 확인해봐도 같은 증상인걸 확인 서버측 로그는 정상적으로 위치값이 잘 찍혀서 서로 프레임이 다른 모니터로 확인해서 프레임 차이 일 수도 있어 움직였다가 바로 멈추는 등 테스트를 해봤으나 움직일때만 움직임을 감지 못하고 멈출때만 그 위치에 캐릭터가 생성됨을 확인 유니티쪽 로그를 확인해보니 움직일때 위치 값이 NaN인듯 하다 가만히 있으면 위치값은 잘 받는다 유니티 코드에 강의 내용대로 일부 수정한 내용이 있어 그거때문에 그러나 하고 클라이..

오늘도 과제의 날 더 추가한 건 이정도 다행히 오류가 나오질 않아 무난하게 갔다 카멜 케이스로 변환하는 로직 lodash라는 패키지에서 카멜 케이스로 변환하는 기능을 불러오는 것 쓰는 이유는 컨벤션을 맞추기 위해! 그리고 그걸 유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용도로 쓸꺼다 유저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레이턴시 매니저 클래스 선언 강의 내용 중 커스텀 에러 관련해서 로직을 구현했었는데 이번 프로젝트에서 구현하지 않아서 급하게 만들어본 커스텀에러 물론 보고 따라쳤다 미리미리 했으면 모든 에러에 적용을 했을텐데.... 일단 내일 과제 제출이라 일부만 적용을 했다 이런 식으로 쓴다 마지막으로 rds 연결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를 켜봤는데 여긴 무난하고 처음보는 친구 등장 이것만 보고는 ..

이제 개인 프로젝트 마무리가 얼마 안남은 시점 나는 이번 프로젝트가 너무 어려워 과제 내용을 기록하기 오늘은 과제말고 건드린게 없기도 하다 어제는 프로토콜 버퍼 파일 읽어오는데 힘을 너무 많이 썼었는데 이게 뭐야.... 시간 버렸다 ㅠㅠㅠ 클래스 들을 만들어 주었다 이 클래스들은 게임 진행 로직 세션에서 사용된다 과제 내용 중 서버가 시작하면 게임 세션을 불러오라는 조건이 붙어있어 어제 로직 이후 추가된 이닛서버 함수게임 세션을 불러오는데 테스트 커넥션 함수는 아래에서 계속게임이 시작할 때 클라이언트에서 보내는 패킷들은 핸들러에서 읽고 다시 응답을 해주는데 여기서 디코딩을 하고 어제 차마 채우지 못한 이 온데이터 이벤트로 클라이언트에 서버에서 읽은 값을 다시 보내준다 그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패킷게임 ..

3일 만에 쓰는 TIL 어제 과제 진도 나간걸 정리 했어야했는데 깜빡하고 못적었다... 일단 오늘 한 것 개인 프로젝트 진도 나가기 베이직 반 수업 모의 면접 준비 오늘 진짜 길었다.... 모의 면접 준비하면서 정리 한거다 말하고 싶었지만 떠오르지 않아서 다 말하진 못했다 아쉽.... 그래도 컴퓨터 공학에 대해서 다시 한번 더 정리하는 좋은 시간이였다 베이직 반 수업은 과제를 다 완성 하고 수업에 들어갔는데 오늘은 알고리즘 위주로 수업을 진행을 했는데 대참사 50분에 쉬운 문제 네 문제 중 한 문제 밖에 못풀었다..... 심지어 감도 안잡힌 상태로 끝났다....... 오픈 북이였는데도 검색만 주구장창 하다가 끝나서 이게 맞나 싶은... 이번 주는 개인 프로젝트 끝나고 팀 프로젝트 시작 전 좀 널널한 주..

과제에 고통 받는 날................. 일단 본 수업 3주차 내용 onData 파일이 많이 바뀌었다. 프로토 파일을 생성하고 이걸 써먹기 위해서 로직이 추가된 모습 여기서 parsePacket은 여기서 정의를 했다 패킷을 파싱하기 위해 또 파일을 나눠서 용도에 맞게 로직을 추가한 모습 여기서 또 getProtoMessages는 또 다른 파일에서 정의를 하고 로직을 구현했다 이 로직들로 onData에서 이벤트 호출 시 데이터를 불러오게 된다 무슨 내용을 받을까 이 내용에 맞춰서 로직이 짜여진걸 볼 수 있다. 강의에서 지급된 클라이언트 코드 전에 tpc_echo 강의에서 버퍼에 대해서 설명할때 썼던 코드지만 여기서도 쓸 수 있다 진도도 많이 못나가고 강의가 진행되었다고 한들 전에 기록과 많..

오늘은 드디어 3주차 진도 나간 날 그런데 오류가 많다... 일단 프로토콜 버퍼 쪽으로 진도를 나갔는데 왜 확장자를 못읽는지 모르는채 오늘이 끝났다.... 내일까지 잘 해결하기!! 슬슬 조바심이 올라온다 개인 과제 해설 영상이 3일차까지 나왔는데 과제에 대해서 아무런 진도를 나가지 못했다... 내일은 꼭 진도 나가자 마음을 먹으며 지금까지 강의 내용 기록하기 서버쪽이다 로직이 많이 빈다 이유는 파일을 다 세세하게 나눴기때문! 이벤트를 여기서 관리하는데 여기는 데이터를 받을때 쓰는 온 데이터 함수 그럼에도 서버쪽 로직이 아직 많이 빈거같다 이런 식으로 환경변수에서 연결 할 ip 나 port를 결정한다 다시 서버쪽 로직 이닛서버로 뭘 불러오는 것 같다 이런 식으로 서버가 시작되면 이닛서버가 실행되고 ..